Java에서 상속과 다형성의 이해
Java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인 상속과 다형성을 지원합니다. 상속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 다형성은 객체가 다양한 형태로 동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Java에서의 상속과 다형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JAVA에서의 추상화와 캡슐화
JAVA에서의 추상화와 캡슐화 Java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의 특징을 가진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객체들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gruda.tistory.com
Java에서의 클래스와 객체
Java에서의 클래스와 객체 Java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모든 것이 객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Java에서 클래스는 객체를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Java String 클래스의 다양한 메소드 Java Stri
gruda.tistory.com
Java String 클래스의 다양한 메소드
Java String 클래스의 다양한 메소드 Java에서 문자열을 다루는 데에는 String 클래스가 자주 사용됩니다. String 클래스는 문자열을 다루는 다양한 메소드를 제공합니다. 이번에는 String 클래스에서 제
gruda.tistory.com
Java 문자열 조작: StringBuilder와 StringBuffer 클래스 활용법
Java 문자열 조작: StringBuilder와 StringBuffer 클래스 활용법 Java에서 문자열 연결은 매우 일반적인 작업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출력하기 전에 문자열로 연
gruda.tistory.com
상속
상속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상속을 사용하면 부모 클래스의 속성과 메서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중복을 방지하고, 객체들 간의 관계를 보다 쉽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Java에서는 extends 키워드를 사용하여 상속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상속을 사용하여 자식 클래스를 정의하는 예시입니다.
class Parent {
public void sayHello() {
System.out.println("Hello from parent!");
}
}
class Child extends Parent {
// Child 클래스는 Parent 클래스를 상속받음
public void sayHello() {
System.out.println("Hello from child!");
}
}
위 코드에서 Child 클래스는 Parent 클래스를 상속받습니다. 따라서 Child 클래스에서는 Parent 클래스의 속성과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Child 클래스에서 sayHello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하여 자식 클래스에서 독자적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다형성
다형성은 객체가 다양한 형태로 동작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Java에서는 상속과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형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다형성을 사용하여 객체를 다양한 형태로 동작시키는 예시입니다.
interface Animal {
public void speak();
}
class Dog implements Animal {
public void speak() {
System.out.println("Woof!");
}
}
class Cat implements Animal {
public void speak() {
System.out.println("Meow!");
}
}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nimal dog = new Dog();
Animal cat = new Cat();
dog.speak(); // "Woof!" 출력
cat.speak(); // "Meow!" 출력
}
}
위 코드에서 Animal 인터페이스는 speak 메서드를 정의합니다. Dog 클래스와 Cat 클래스는 Animal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며, 각각의 speak 메서드에서는 강아지와 고양이의 울음소리를 출력합니다. Main 클래스에서는 Dog 객체와 Cat 객체를 Animal 타입으로 선언하고, speak 메서드를 호출합니다. 이를 통해 Dog 객체와 Cat 객체가 다형성을 가지게 됩니다. 즉, Animal 타입으로 선언된 dog와 cat 객체가 각각 Dog 클래스와 Cat 클래스의 객체이기도 하며, Animal 인터페이스에서 정의된 speak 메서드를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상속과 다형성의 장점
상속과 다형성을 사용하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의 코드 재사용성과 유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상속을 사용하면 부모 클래스에서 구현한 속성과 메서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코드의 중복을 방지하고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다형성을 사용하면 객체를 다양한 형태로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결론
Java에서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인 상속과 다형성을 지원합니다. 상속을 사용하면 코드의 중복을 방지하고, 다형성을 사용하면 객체를 다양한 형태로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의 코드 재사용성과 유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를 잘 활용하여 가독성 높은 코드를 작성하고,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인터페이스 개념과 활용 (0) | 2023.03.02 |
---|---|
JAVA에서의 생성자와 소멸자 (0) | 2023.03.02 |
JAVA에서의 추상화와 캡슐화 (0) | 2023.03.02 |
Java에서의 클래스와 객체 (0) | 2023.03.01 |
Java String 클래스의 다양한 메소드 (0) | 2023.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