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다반사/QnA

퇴직연금 TDF 운용시 장단점, 뜻

구루다 2023. 2. 19. 00:18
반응형

TDF란 무엇인가?

개요

TDF(투자목표일자형 펀드, Target Date Fund)는 목표 달성일을 기준으로 자산배분을 조절해 나가는 상품입니다. 미국에서 처음 도입된 이후 급격한 성장을 이루며 현재는 다양한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TDF의 특징

1. 목표달성일자에 따른 자동 자산배분

TDF는 투자 목표 달성일을 지정하고, 해당 달성일에 맞추어 자산배분을 자동으로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2040년까지 노후준비를 위해 TDF를 구매한 경우, 해당 TDF는 2040년까지 자산배분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최적의 투자수익을 추구합니다.

2. 점진적인 위험감소

TDF는 투자 기간이 짧은 초기 단계에서는 위험도가 높은 자산에 투자하여 높은 수익을 추구하고, 투자 기간이 길어질수록 안정적인 자산에 투자하여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이러한 자산배분 전략을 통해, 투자자는 원금손실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자산투자 가능

TDF는 주식, 채권, 부동산, 자산운용사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투자 분산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4. 투자자 신뢰도 상승

TDF는 목표 달성일에 맞춰 자산배분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상품으로, 투자자들은 이러한 전략에 대해 신뢰를 높이고 있습니다.

 

300x250

TDF의 단점

1. 자동 조정으로 인한 수익감소

TDF는 자동으로 자산배분을 조절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일부 투자자들은 개인적으로 자산배분을 선택하지 못하고, 자동배분에 따라 수익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목표 달성일 변경에 따른 리밸런싱 필요성

TDF는 목표 달성일에 맞추어 자동으로 자산배분을 조절하므로, 목표 달성일을 변경하게 되면 자산배분 전략이 변경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리밸런싱을 통해 자산배분을 조절해야 하며, 이는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3. 관리비용이 높을 수 있음

TDF는 자동으로 자산배분을 조절하기 때문에 관리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산규모와 상품 비용을 비교해 보고 선택해야 합니다.

 

 

TDF의 종류

TDF는 목표 달성일자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뉩니다. 보통 5년 단위로 나누어지며, 각 TDF의 자산배분 전략은 목표 달성일까지의 투자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2040년까지 목표 달성일을 설정한 TDF는 현재까지는 높은 위험 자산에 대한 비중이 높게 설정되어 있으며, 2040년에 가까워지면 안정적인 자산에 대한 비중이 높아집니다.

결론

TDF는 목표 달성일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자산배분을 조절하여 최적의 수익을 추구합니다.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므로 투자 분산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자동 조정에 따른 투자자 신뢰도 상승도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목표 달성일 변경에 따른 리밸런싱이 필요하며, 자동 조정으로 인해 수익 감소 가능성이 있으며, 관리비용이 높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자신의 목표에 맞는 TDF를 선택하기 전에 장기적인 계획과 위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320x100
728x90